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예선은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 두 라운드로 구성되었으며, 51개 팀이 참가했다. 조별 리그는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각 조 2위 팀들의 순위를 결정하여 상위 3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고, 나머지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는 예선에서 실격 처리되었다. 그 결과, 총 12개 팀(스웨덴, 스페인, 네덜란드,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스위스, 아일랜드, 포르투갈)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여자 축구 -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
2022년 AFC 여자 아시안컵 예선은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된 대회로, 개최국 인도와 지난 대회 상위 3팀을 제외한 28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각 조 1위 팀에게 본선 진출권을 부여하는 대회이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일정이 연기되기도 했다. - 2021년 여자 축구 -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은 47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 팀을 가리는 대회였으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의 출전 자격이 박탈되어 포르투갈이 대신 본선에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
2022년 CONCACAF W 챔피언십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과 2024년 파리 올림픽 예선을 겸해 멕시코에서 개최되었으며, 미국이 캐나다를 꺾고 우승하여 파리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는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어 아이티, 포르투갈, 파나마가 사상 첫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룬 토너먼트이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플레이오프는 유럽 지역 예선 각 조 2위 팀들이 참가하여 본선 진출 자격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자격을 놓고 경쟁했으며, 최종 순위에 따라 상위 2팀은 여자 월드컵 본선에, 최하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F조는 스웨덴, 아일랜드 등 6개국이 참가하여 스웨덴이 조 1위로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아일랜드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예선 조이다.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개최 연도 | 2023년 |
기간 | 2021년 9월 16일 ~ 2022년 10월 11일 |
참가 팀 수 | 51개 팀 |
경기 수 | 242경기 |
총 득점 | 1086골 |
최다 득점 선수 | 테사 뷜라르트 (17골) |
이전 대회 | 2019년 |
다음 대회 | 2027년 |
관련 템플릿 | |
관련 템플릿 | 여자 선수권 대회 예선 (UEFA) |
2. 대회 방식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다.[4]
- '''조별 리그''':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플레이오프''': 조별 리그 각 조 2위 9개 팀이 단판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상위 3개 팀은 2라운드에 직행했고, 최종적으로 2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 기록을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했다.[4]
2. 1. 조별 리그
51개 팀이 5개 또는 6개 팀으로 구성된 9개 조로 편성되어 각 조별로 홈 앤 어웨이 풀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9개 조의 우승팀은 최종 토너먼트에 직행했고, 9개 조의 준우승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4]예선 경기는 FIFA 여자 국제 경기 일정에 포함된 날짜에 치러졌다.[5][6]
FIFA 국제 경기 날짜 |
---|
2021년 9월 13일–21일 |
2021년 10월 18일–26일 |
2021년 11월 22일–30일 |
2022년 4월 4일–12일 |
2022년 6월 20일–28일 |
2022년 9월 1일–6일 |
UEFA 여자 유로 2022 토너먼트가 유럽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1년 여름에서 2022년으로 연기되면서, UEFA의 월드컵 예선 일정이 대륙 선수권 대회로 인해 처음으로 중단되었다. 2022년 7월, 16개의 UEFA 국가대표팀이 잉글랜드에서 열린 여자 유로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출전하는 51개 팀을 5팀 또는 6팀씩 9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두 번씩 풀 리그를 치른다. 각 조 1위 팀은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고, 각 조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8]
2. 2. 플레이오프
9개 조의 준우승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 9개 팀은 단판 승부 토너먼트 방식으로 두 라운드를 치렀으며, 상위 3개 준우승팀이 2라운드에 진출하여 최종 예선 진출팀 2개 팀과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팀 1개 팀을 UEFA에서 결정했다.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의 기록을 합산하여 순위를 정했다.[4]플레이오프는 3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대결했다. 승리한 팀 중 성적이 상위 2개 팀은 월드컵 출전 자격을 얻고, 나머지 1개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18]
플레이오프는 2라운드 제로, 조별 리그 성적이 상위 3개 팀은 1라운드를 면제받았다. 각 대결은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를 통과한 팀 간의 성적 비교는 조별 리그 성적에 플레이오프 2라운드 성적을 더하여 진행했다.[18]
2. 3. 동점자 처리 방식
조별 리그에서 각 팀은 승점(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된다.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하여 순위를 결정한다(규정 제13.01조).[4]1. 동률 팀 간 승자승 승점
2. 동률 팀 간 골 득실차
3. 동률 팀 간 득점
4. 2개 이상 팀이 동률이고 위 기준 적용 후에도 일부 팀이 동률이면, 해당 팀들만을 대상으로 위 기준 재적용
5. 모든 조별 리그 경기 골 득실차
6. 모든 조별 리그 경기 득점
7.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원정 득점
8.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승리
9.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원정 승리
10. 벌점(퇴장 3점, 경고 1점, 한 경기 경고 2회로 퇴장 3점)
11. UEFA 계수 (조별 리그 조 추첨 시 사용)
최우수 2위 팀 결정 시에는 6위 팀과의 경기를 제외한 조 순위를 사용한다.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을 적용한다(규정 제14.04조).[4]
1. 모든 조별 리그 경기 골 득실차
2. 모든 조별 리그 경기 득점
3.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원정 득점
4.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승리
5. 모든 조별 리그 경기 원정 승리
6. 벌점 (퇴장 3점, 경고 1점, 한 경기 경고 2회로 퇴장 3점)
7. UEFA 계수 (조별 리그 조 추첨 시 사용)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서 더 많은 골을 넣은 팀이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점수가 같으면 연장전을 진행하고, 연장전 후에도 같으면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한다(규정 제15.01조).[4]
최우수 플레이오프 승자 2팀은 조별 리그 결과(8경기)와 플레이오프 2라운드 결과(1경기)를 합산하여 결정한다. 다음 기준을 적용한다(규정 제14.05조).[4]
1. 승점
2. 골 득실차
3. 득점
4. 원정 득점
5. 승리
6. 원정 승리
7. 벌점
8. UEFA 계수 (조별 리그 조 추첨 시 사용)
3. 참가국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는 51개국이 참가했다.[3] 조 추첨은 2021년 4월 30일 스위스 니옹에서 진행되었다.[3]
참가국 순위와 계수는 UEFA 여자 유로 2017 예선 및 본선 경기 결과(20%), 201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및 본선 경기 결과(40%),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플레이오프 제외) 경기 결과(40%)를 반영하여 결정되었다.[7][4]
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FIFA 및 UEFA 주관 대회 출전 자격이 정지되었다.[13][14]
51개 팀은 9개 조로 나뉘었다.
- 5개 팀으로 구성된 3개 조 (A, B, C조)
- 6개 팀으로 구성된 6개 조 (D, E, F, G, H, I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세르비아와 코소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 러시아와 코소보는 양국 간의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조에 편성되었다.
3. 1. 시드 배정
팀들은 UEFA 여자 유로 2017 결선 토너먼트와 예선 (20%), 2019 FIFA 여자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와 예선 (40%), UEFA 여자 유로 2022 예선 (40%)을 기준으로 계산된 계수 순위에 따라 시드가 배정되었다.[7][4]러시아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모든 FIFA 및 UEFA 주관 대회 출전 자격이 정지되었다.[13][14]
2021년 4월 20일, 55개 팀 중 51개 팀이 예선 라운드에 참가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3]
조 추첨은 2021년4월 30일 스위스 니옹의 유럽 축구 연맹(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3]
다음 국가들은 예선에 참가하지 않았다.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코소보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와 세르비아, 코소보와 러시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는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같은 조에 배정될 수 없었다.[18]
4. 조별 리그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조 추첨은 2021년 4월 30일 스위스 니옹에 있는 UEFA 본부에서 진행되었다.[3]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었다.
- 5개 팀으로 구성된 3개 조(A, B, C조): 포트 1~5에서 각 1팀씩 배정 (총 8경기 진행).
- 6개 팀으로 구성된 6개 조(D, E, F, G, H, I조): 포트 1~6에서 각 1팀씩 배정 (총 10경기 진행).
UEFA 집행위원회는 정치적 분쟁을 고려하여, 특정 국가(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세르비아와 코소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코소보, 러시아와 코소보)들이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도록 결정했다. 아르메니아는 처음에 아제르바이잔과 함께 E조에 배정되었으나, 이후 F조로 이동하였고 몬테네그로가 E조에 배정되었다.
9개 조 1위 팀은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9개 조 2위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각 조의 예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1위 (본선 직행) | 2위 (플레이오프 진출) | 3위 | 4위 | 5위 | 6위 |
---|---|---|---|---|---|---|
A조 | 스웨덴 | 아일랜드 | 핀란드 | 슬로바키아 | 조지아 | |
B조 | 스페인 | 스코틀랜드 | 우크라이나 | 헝가리 | 페로 제도 | |
C조 | 네덜란드 | 아이슬란드 | 체코 | 벨라루스 | 키프로스 | |
D조 | 잉글랜드 | 오스트리아 | 북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북마케도니아 | 라트비아 |
E조 | 덴마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몬테네그로 | 아제르바이잔 | 몰타 | |
F조 | 노르웨이 | 벨기에 | 폴란드 | 알바니아 | 코소보 | 아르메니아 |
G조 | 이탈리아 | 스위스 | 루마니아 | 크로아티아 | 리투아니아 | 몰도바 |
H조 | 독일 | 포르투갈 | 세르비아 | 튀르키예 | 이스라엘 | 불가리아 |
I조 | 프랑스 | 웨일스 | 슬로베니아 | 그리스 | 에스토니아 | 카자흐스탄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는 UEFA에 의해 예선에서 제외되었고, 러시아와 경기 결과는 모두 무효 처리되었다.[19][20][21]。이에 따라 E조는 5개 팀으로 조정되었으며, 덴마크가 조 1위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22]
각 조 2위 팀들은 플레이오프 진출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6개 팀이 속한 조의 6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성적을 비교했다.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스위스 | 8 | 6 | 1 | 1 | 23 | 4 | +19 | 19 |
2 | 아이슬란드 | 8 | 6 | 0 | 2 | 35 | 3 | +22 | 18 |
3 | 아일랜드 | 8 | 5 | 2 | 1 | 26 | 4 | +22 | 17 |
4 | 오스트리아 | 8 | 5 | 1 | 2 | 34 | 6 | +16 | 16 |
5 | 벨기에 | 8 | 5 | 1 | 2 | 30 | 7 | +23 | 16 |
6 | 스코틀랜드 | 8 | 5 | 1 | 2 | 22 | 13 | +6 | 16 |
7 | 포르투갈 | 8 | 5 | 1 | 2 | 18 | 9 | +9 | 16 |
8 | 웨일스 | 8 | 4 | 2 | 2 | 13 | 5 | +8 | 14 |
9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8 | 3 | 2 | 3 | 9 | 17 | -8 | 11 |
4. 1. A조
팀 | |||||
---|---|---|---|---|---|
1 - 1 | 2 - 1 | 3 - 0 | 4 - 0 | ||
0 - 1 | 1 - 0 | 1 - 1 | 11 - 0 | ||
0 - 5 | 1 - 2 | 2 - 1 | 6 - 0 | ||
0 - 1 | 0 - 1 | 1 - 1 | 2 - 0 | ||
0 - 15 | 0 - 9 | 0 - 3 | 0 - 4 |
- 스웨덴이 7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 아일랜드는 5승 2무 1패로 2위를 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 핀란드는 3승 1무 4패, 슬로바키아는 2승 2무 4패, 조지아는 8전 전패를 기록하며 탈락하였다.
경기 결과
- 2021년 9월 17일: 0 - 1 [1]
- 2021년 9월 21일: 2 - 1 [2]
- 2021년 9월 21일: 4 - 0 [3]
- 2021년 10월 21일: 0 - 3 [4]
- 2021년 10월 21일: 0 - 1 [5]
- 2021년 10월 26일: 2 - 0 [6]
- 2021년 10월 26일: 1 - 2 [7]
- 2021년 11월 25일: 2 - 1 [8]
- 2021년 11월 25일: 1 - 1 [9]
- 2021년 11월 30일: 3 - 0 [10]
- 2021년 11월 30일: 11 - 0 [11]
- 2022년 4월 7일: 0 - 15 [12]
- 2022년 4월 8일: 1 - 1 [13]
- 2022년 4월 12일: 6 - 0 [14]
- 2022년 4월 12일: 1 - 1 [15]
- 2022년 6월 27일: 0 - 9 [16]
- 2022년 9월 1일: 0 - 4 [17]
- 2022년 9월 1일: 1 - 0 [18]
- 2022년 9월 6일: 0 - 5 [19]
- 2022년 9월 6일: 0 - 1 [20]
4. 2. B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8 | 7 | 1 | 0 | 32 | 2 | +30 | 22 | |
2 | 8 | 5 | 2 | 1 | 26 | 4 | +22 | 17 | |
3 | 8 | 3 | 1 | 4 | 14 | 12 | +2 | 10 | |
4 | 8 | 2 | 2 | 4 | 9 | 9 | 0 | 8 | |
5 | 8 | 0 | 0 | 8 | 0 | 54 | -54 | 0 |
'''B조'''는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 참가한 5개국이 참여한 조로, 2021년 9월 17일부터 2022년 9월 6일까지 경기가 진행되었다.
- (스웨덴): 7승 1무(32득점 2실점)로 조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스웨덴은 2021년 9월 17일 슬로바키아 원정에서 1-0으로 승리했고, 2022년 4월 12일 아일랜드와의 홈 경기에서 1-1로 비겼다.[6]
- (아일랜드): 5승 2무 1패(26득점 4실점)로 조 2위를 차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2021년 10월 21일 스웨덴에 홈에서 0-1로 패배했지만,[6] 2022년 9월 1일 핀란드를 홈에서 1-0으로 꺾고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했다.
- (핀란드): 3승 1무 4패(14득점 12실점)로 조 3위를 기록했다. 2021년 9월 21일 슬로바키아를 홈에서 2-1로 이겼으나,[6] 2022년 9월 6일 스웨덴에 홈에서 0-5로 크게 져 탈락하였다.
- (슬로바키아): 2승 2무 4패(9득점 9실점)로 조 4위를 기록했다. 2021년 10월 26일 조지아를 홈에서 2-0으로 이겼지만,[6] 2022년 9월 6일 아일랜드에 홈에서 0-1로 패하며 탈락하였다.
4. 3. C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8 | 6 | 2 | 0 | 30 | 3 | +27 | 20 | |
2 | 8 | 6 | 0 | 2 | 25 | 3 | +22 | 18 | |
3 | 8 | 3 | 2 | 3 | 25 | 10 | +15 | 11 | |
4 | 8 | 2 | 1 | 5 | 7 | 26 | -19 | 7 | |
5 | 8 | 0 | 1 | 7 | 2 | 48 | -46 | 1 |
- 네덜란드가 6승 2무로 조 1위를 차지하여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 아이슬란드는 6승 2패로 조 2위를 기록하여 2차 예선에 진출하였다.
- 체코는 3승 2무 3패, 벨라루스는 2승 1무 5패, 키프로스는 1무 7패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
- 2021년
- 9월 17일: 벨라루스 4-1 키프로스[1], 네덜란드 1-1 체코[2]
- 9월 21일: 체코 8-0 키프로스[3], 아이슬란드 0-2 네덜란드[4]
- 10월 22일: 키프로스 0-8 네덜란드[5], 아이슬란드 4-0 체코[6]
- 10월 26일: 벨라루스 0-2 네덜란드[7], 아이슬란드 5-0 키프로스[8]
- 11월 26일: 키프로스 1-1 벨라루스[9]
- 11월 27일: 체코 2-2 네덜란드[10]
- 11월 30일: 키프로스 0-4 아이슬란드[11]
- 2022년
- 4월 7일: 벨라루스 0-5 아이슬란드[12]
- 4월 8일: 네덜란드 12-0 키프로스[13]
- 4월 12일: 체코 0-1 아이슬란드[14]
- 6월 24일: 벨라루스 2-1 체코[15]
- 6월 28일: 네덜란드 3-0 벨라루스[16]
- 9월 1일: 키프로스 0-6 체코[17]
- 9월 2일: 아이슬란드 6-0 벨라루스[18]
- 9월 6일: 체코 7-0 벨라루스[19], 네덜란드 1-0 아이슬란드[20]
4. 4. D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8 | 7 | 1 | 0 | 32 | 2 | +30 | 22 | |
2 | 8 | 5 | 2 | 1 | 26 | 4 | +22 | 17 | |
3 | 8 | 3 | 1 | 4 | 14 | 12 | +2 | 10 | |
4 | 8 | 2 | 2 | 4 | 9 | 9 | 0 | 8 | |
5 | 8 | 0 | 0 | 8 | 0 | 54 | -54 | 0 |
- 경기 결과
2021년 경기 |
---|
2022년 경기 |
---|
4. 5. E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여파로 국제 축구 연맹(FIFA)과 유럽 축구 연맹(UEFA)은 러시아의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정지시켰다.[23] UEFA 집행위원회는 2022년 5월 2일에 러시아의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참가 자격을 박탈하기로 결정하여, 러시아를 상대로 한 경기 결과는 모두 무효 처리되었고 E조는 5개 팀끼리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24]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8 | 8 | 0 | 0 | 40 | 2 | +38 | 24 | |
2 | 8 | 3 | 2 | 3 | 9 | 17 | -8 | 11 | |
3 | 8 | 3 | 0 | 5 | 9 | 17 | -8 | 9 | |
4 | 8 | 2 | 1 | 5 | 5 | 16 | -11 | 7 | |
5 | 8 | 2 | 1 | 5 | 6 | 17 | -11 | 7 |
- 덴마크가 조 1위로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장소 |
---|---|---|---|---|
2021년 9월 16일 | 7 - 0 | 비보르 스타디움, 비보르 | ||
2021년 9월 17일 | 2 - 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A 훈련 센터, 제니차 | ||
2021년 9월 21일 | 0 - 8 | ASK 아레나, 바쿠 | ||
2021년 9월 21일 | 2 - 2 | 센테너리 스타디움, 타칼리 | ||
2021년 10월 21일 | 2 - 0 |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 캠프, 포드고리차 | ||
2021년 10월 21일 | 8 - 0 | 비보르 스타디움, 비보르 | ||
2021년 10월 26일 | 1 - 2 | ASK 아레나, 바쿠 | ||
2021년 10월 26일 | 1 - 5 | 스타디온 포드 고리콤, 포드고리차 | ||
2021년 11월 25일 | 0 - 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A 훈련 센터, 제니차 | ||
2021년 11월 26일 | 0 - 2 | 센테너리 스타디움, 타칼리 | ||
2021년 11월 30일 | 1 - 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FA 훈련 센터, 제니차 | ||
2021년 11월 30일 | 1 - 0 | 달가 아레나 스타디우, 바쿠 | ||
2022년 4월 7일 | 1 - 0 | 스타디온 그르바비차, 사라예보 | ||
2022년 4월 8일 | 0 - 2 | 센테너리 스타디움, 타칼리 | ||
2022년 4월 12일 | 0 - 2 | 캠프 FSCG, 포드고리차 | ||
2022년 4월 12일 | 2 - 0 | 비보르 스타디움, 비보르 | ||
2022년 9월 1일 | 5 - 1 | 비보르 스타디움, 비보르 | ||
2022년 9월 2일 | 0 - 2 | 센테너리 스타디움, 타칼리 | ||
2022년 9월 6일 | 1 - 1 | 달가 아레나 스타디우, 바쿠 | ||
2022년 9월 6일 | 0 - 2 |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 캠프, 포드고리차 |
4. 6. F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0 | 9 | 1 | 0 | 47 | 2 | +45 | 28 | |
10 | 7 | 1 | 2 | 56 | 7 | +49 | 22 | |
10 | 6 | 2 | 2 | 28 | 9 | +19 | 20 | |
10 | 3 | 1 | 6 | 14 | 30 | -16 | 10 | |
10 | 2 | 1 | 7 | 8 | 36 | -28 | 7 | |
10 | 0 | 0 | 10 | 1 | 71 | -70 | 0 |
'''노르웨이'''가 총 10경기에서 9승 1무 0패, 47득점 2실점, 골득실 +45, 승점 28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벨기에는 7승 1무 2패, 56득점 7실점, 골득실 +49, 승점 22점으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폴란드는 6승 2무 2패, 28득점 9실점, 골득실 +19, 승점 20점으로 3위를 차지했다. 알바니아는 3승 1무 6패, 14득점 30실점, 골득실 -16, 승점 1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코소보는 2승 1무 7패, 8득점 36실점, 골득실 -28, 승점 7점으로 5위를 차지했다. 아르메니아는 10전 전패, 1득점 71실점, 골득실 -70, 승점 0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 2021년 9월 16일, 노르웨이는 울레볼 스타디온(오슬로)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10-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9월 16일, 알바니아는 엘바산 아레나(엘바산)에서 열린 코소보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
- 2021년 9월 17일, 폴란드는 PGE 아레나 그단스크(그단스크)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1]
- 2021년 9월 21일, 아르메니아는 바스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예레반)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1]
- 2021년 9월 21일, 코소보는 파딜 보크리 스타디움(프리슈티나)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0-3으로 패배했다.[1]
- 2021년 9월 21일, 벨기에는 보두앵 국왕 경기장(브뤼셀)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10월 21일, 알바니아는 아레나 콤베타레(티라나)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10월 21일, 벨기에는 덴 드리에프(루벤)에서 열린 코소보와의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10월 21일, 폴란드는 비제프 우치 경기장(우치)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다.[1]
- 2021년 10월 26일, 아르메니아는 바스겐 사르키샨 공화국 경기장(예레반)에서 열린 코소보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1]
- 2021년 10월 26일, 노르웨이는 울레볼 스타디온(오슬로)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10월 26일, 폴란드는 티히 시립 경기장(티히)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다.[1]
- 2021년 11월 25일, 코소보는 프리슈티나 시립 경기장(프리슈티나)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1]
- 2021년 11월 25일, 벨기에는 덴 드리에프(루벤)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19-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1]
- 2021년 11월 25일, 알바니아는 아레나 콤베타레(티라나)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0-7로 패배했다.[1]
- 2021년 11월 30일, 아르메니아는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경기장(예레반)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0-10으로 패배했다.[1]
- 2021년 11월 30일, 코소보는 파딜 보크리 스타디움(프리슈티나)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경기에서 1-3으로 패배했다.[1]
- 2021년 11월 30일, 벨기에는 덴 드리에프(루벤)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4-0으로 승리했다.[1]
- 2022년 4월 7일, 노르웨이는 산데피요르드 아레나(산데피요르드)에서 열린 코소보와의 경기에서 5-1로 승리했다.[1]
- 2022년 4월 7일, 알바니아는 엘바산 아레나(엘바산)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0-5로 패배했다.[1]
- 2022년 4월 7일, 폴란드는 그디니아 시립 경기장(그디니아)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12-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1]
- 2022년 4월 12일, 아르메니아는 호벨야나칸 경기장(알마비르)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경기에서 0-4로 패배했다.[1]
- 2022년 4월 12일, 노르웨이는 울레볼 스타디온(오슬로)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1]
- 2022년 4월 12일, 코소보는 파딜 보크리 스타디움(프리슈티나)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1-6으로 패배했다.[1]
- 2022년 9월 1일, 알바니아는 엘바산 아레나(엘바산)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1]
- 2022년 9월 1일, 코소보는 파딜 보크리 스타디움(프리슈티나)에서 열린 아르메니아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했다.[1]
- 2022년 9월 2일, 벨기에는 덴 드리에프(루벤)에서 열린 노르웨이와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했다.[1]
- 2022년 9월 6일, 아르메니아는 예레반 축구 아카데미 경기장(예레반)에서 열린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0-7로 패배했다.[1]
- 2022년 9월 6일, 노르웨이는 울레볼 스타디온(오슬로)에서 열린 알바니아와의 경기에서 5-0으로 승리했다.[1]
- 2022년 9월 6일, 폴란드는 아레나 루블린(루블린)에서 열린 코소보와의 경기에서 7-0으로 승리했다.[1]
4. 7. G조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결과 |
---|---|---|---|---|---|---|---|---|---|---|
1 | 9 | 9 | 0 | 1 | 40 | 2 | +38 | 27 | 월드컵 본선 직행 | |
2 | 8 | 8 | 1 | 1 | 44 | 4 | +40 | 25 | 플레이오프 진출 | |
3 | 8 | 6 | 1 | 3 | 21 | 11 | +10 | 19 | 탈락 | |
4 | 8 | 3 | 1 | 6 | 6 | 18 | -12 | 10 | 탈락 | |
5 | 8 | 1 | 2 | 7 | 7 | 35 | -28 | 5 | 탈락 | |
6 | 8 | 0 | 1 | 9 | 1 | 49 | -48 | 1 | 탈락 |
경기 결과
- 2021년 9월 17일: 3 - 0 [1]
- 2021년 9월 17일: 4 - 1 [2]
- 2021년 9월 17일: 2 - 0 [3]
- 2021년 9월 21일: 0 - 5 [4]
- 2021년 9월 21일: 0 - 6 [5]
- 2021년 9월 21일: 3 - 0 [6]
- 2021년 10월 22일: 3 - 0 [7]
- 2021년 10월 26일: 0 - 5 [8]
- 2021년 10월 26일: 5 - 0 [9]
- 2021년 11월 26일: 0 - 0 [10]
- 2021년 11월 26일: 1 - 2 [11]
- 2021년 11월 26일: 3 - 0 [12]
- 2021년 11월 30일: 4 - 0 [13]
- 2021년 11월 30일: 0 - 7 [14]
- 2021년 11월 30일: 0 - 5 [15]
- 2022년 4월 8일: 0 - 1 [16]
- 2022년 4월 8일: 1 - 1 [17]
- 2022년 4월 8일: 7 - 0 [18]
- 2022년 4월 12일: 0 - 1 [19]
- 2022년 4월 12일: 4 - 0 [20]
- 2022년 4월 12일: 0 - 1 [21]
- 2022년 6월 24일: 0 - 4 [22]
- 2022년 6월 28일: 1 - 1 [23]
- 2022년 9월 2일: 0 - 8 [24]
- 2022년 9월 2일: 1 - 7
- 2022년 9월 2일: 0 - 2
- 2022년 9월 6일: 0 - 1
- 2022년 9월 6일: 2 - 0
- 2022년 9월 6일: 15 - 0
G조에서는 이탈리아가 9승 1패의 압도적인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여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 스위스는 8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루마니아는 3위, 크로아티아는 4위, 리투아니아는 5위, 몰도바는 6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4. 8. H조
- 경기 결과
2021년 9월 17일, 슬로바키아는 NTC 세네츠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경기에서 0-1로 패배하였다.[1]
2021년 9월 21일, 핀란드는 투르쿠의 베리타스 스타디온에서 열린 슬로바키아와의 경기에서 2-1로 승리하였다.[2]
같은 날 스웨덴은 예테보리의 감라 울레비에서 조지아를 4-0으로 꺾었다.[3]
2021년 10월 21일, 조지아는 트빌리시의 미헤일 메스히 스타디움에서 핀란드에게 0-3으로 패배하였다.[4]
같은 날 아일랜드는 더블린의 타라 스타디움에서 스웨덴에게 0-1로 패배하였다.[5]
2021년 10월 26일, 슬로바키아는 포프라트의 NTC 포프라트에서 조지아를 2-0으로 이겼다.[6]
같은 날 핀란드는 헬싱키의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아일랜드에게 1-2로 패배하였다.[7]
2021년 11월 25일, 스웨덴은 예테보리의 감라 울레비에서 핀란드를 2-1로 꺾었다.[8]
같은 날 아일랜드는 더블린의 타라 스타디움에서 슬로바키아와 1-1로 비겼다.[9]
2021년 11월 30일, 스웨덴은 말뫼의 스웨드뱅크 스타디온에서 슬로바키아를 3-0으로 이겼다.[10]
같은 날 아일랜드는 더블린의 타라 스타디움에서 조지아를 11-0으로 대파했다.[11]
2022년 4월 7일, 조지아는 고리의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에서 스웨덴에게 0-15로 대패했다.[12]
2022년 4월 8일, 슬로바키아는 트르나바의 안톤 말라틴스키 스타디온에서 핀란드와 1-1로 비겼다.[13]
2022년 4월 12일, 핀란드는 헬싱키의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조지아를 6-0으로 꺾었다.[14]
같은 날 스웨덴은 예테보리의 감라 울레비에서 아일랜드와 1-1로 비겼다.[15]
2022년 6월 27일, 조지아는 고리의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에서 아일랜드에게 0-9로 패배하였다.[16]
2022년 9월 1일, 조지아는 고리의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에서 슬로바키아에게 0-4로 패배하였다.[17]
같은 날 아일랜드는 더블린의 타라 스타디움에서 핀란드를 1-0으로 꺾었다.[18]
2022년 9월 6일, 핀란드는 탐페레의 탐페레 스타디온에서 스웨덴에게 0-5로 패배하였다.[19]
같은 날 슬로바키아는 세네츠의 NTC 세네츠에서 아일랜드에게 0-1로 패배하였다.[20]
4. 9. I조
I조에서는 스웨덴이 7승 1무로 1위를 차지하여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였다.[1] 아일랜드는 5승 2무 1패로 2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1] 핀란드는 3승 1무 4패, 슬로바키아는 2승 2무 4패, 조지아는 8전 전패를 기록했다.[1]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비고 |
---|---|---|---|---|---|
2021년 9월 17일 | 0 - 1 | NTC 세네츠 (세네츠) | [1] | ||
2021년 9월 21일 | 2 - 1 | 베리타스 스타디온 (투르쿠) | [1] | ||
2021년 9월 21일 | 4 - 0 | 감라 울레비 (예테보리) | [1] | ||
2021년 10월 21일 | 0 - 3 | 미헤일 메스히 스타디움 (트빌리시) | [1] | ||
2021년 10월 21일 | 0 - 1 | 타라 스타디움 (더블린) | [1] | ||
2021년 10월 26일 | 2 - 0 | NTC 포프라트 (포프라트) | [1] | ||
2021년 10월 26일 | 1 - 2 |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헬싱키) | [1] | ||
2021년 11월 25일 | 2 - 1 | 감라 울레비 (예테보리) | [1] | ||
2021년 11월 25일 | 1 - 1 | 타라 스타디움 (더블린) | [1] | ||
2021년 11월 30일 | 3 - 0 | 스웨드뱅크 스타디온 (말뫼) | [1] | ||
2021년 11월 30일 | 11 - 0 | 타라 스타디움 (더블린) | [1] | ||
2022년 4월 7일 | 0 - 15 |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 (고리) | [1] | ||
2022년 4월 8일 | 1 - 1 | 안톤 말라틴스키 스타디온 (트르나바) | [1] | ||
2022년 4월 12일 | 6 - 0 |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헬싱키) | [1] | ||
2022년 4월 12일 | 1 - 1 | 감라 울레비 (예테보리) | [1] | ||
2022년 6월 27일 | 0 - 9 |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 (고리) | [1] | ||
2022년 9월 1일 | 0 - 4 | 텐기즈 부르자나제 스타디온 (고리) | [1] | ||
2022년 9월 1일 | 1 - 0 | 타라 스타디움 (더블린) | [1] | ||
2022년 9월 6일 | 0 - 5 | 탐페레 스타디온 (탐페레) | [1] | ||
2022년 9월 6일 | 0 - 1 | NTC 세네츠 (세네츠) | [1] |
4. 10. 각 조 2위 팀 순위
각 조 2위 팀 가운데 상위 3개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고, 하위 6개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부터 참가한다. 모든 조의 2위 팀들은 각 조 6위 팀과의 경기 결과를 제외하고 비교한다.[1] 일부 조에 6개 팀이 있고 다른 조에 5개 팀이 있었기 때문에, 6개 팀이 있는 조의 6위 팀과의 경기는 순위 계산에서 제외되었다.[2]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아일랜드 | 8 | 5 | 2 | 1 | 26 | 4 | +22 | 17 |
2 | 아이슬란드 | 8 | 6 | 1 | 1 | 25 | 3 | +22 | 19 |
3 | 스위스 | 8 | 6 | 1 | 1 | 23 | 4 | +19 | 19 |
4 | 벨기에 | 8 | 5 | 1 | 2 | 30 | 7 | +23 | 16 |
5 | 오스트리아 | 8 | 5 | 1 | 2 | 22 | 6 | +16 | 16 |
6 | 스코틀랜드 | 8 | 5 | 1 | 2 | 19 | 13 | +6 | 16 |
7 | 포르투갈 | 8 | 5 | 1 | 2 | 18 | 9 | +9 | 16 |
8 | 웨일스 | 8 | 4 | 2 | 2 | 13 | 5 | +8 | 14 |
9 | 체코 | 8 | 3 | 2 | 3 | 25 | 10 | +15 | 11 |
5. 플레이오프
(연장)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장) | 아이슬란드
(연장) | 웨일스